언니를 보내고 울적한 마음에 썼던 글에 많은 분들 - 익명 심리상담 커뮤니티 | 마인드카페[불안]
알림
black-line
비공개_커피콩_아이콘비공개
·9년 전
언니를 보내고 울적한 마음에 썼던 글에 많은 분들이 공감과 댓글을 남겨주셔서 정말 위안이 됐습니다. 여기 있는분들은 어쩜 댓글 하나를 달아도 진심으로 달아주시는지 다른 사연을 읽으면서 저도 같이 치유받는 기분이에요. 그 언니는 5년전 어느 동호회에서 만났던 언니였어요. 학교,나이같은것엔 접점이 없었는데 좋아하는 분야, 관심사가 비슷했고 유머코드가 비슷했어요. 전 친구들모임에서 개그 담당인데 언니도 그랬었어요. 언니의 화장터에서 동호회의 다른 언니가 얘기하더라구요. 나는 2명 이상 정기적으로 만나는 모임이 없어. 근데 여기는 기본 3명에서 7명까지 모이지만, 너랑 그 언니랑 둘이 얘기하는게 너무 재밌어서 모임이 있으면 꼭 나왔었어. 이제 둘이 우리 재밌게 해주는거 못 듣는다고 생각하니 너무 아쉽다. 언니는 평소에 전혀 우울한 티가 나지 않았어요. 몇 년간 기약없는 시험을 준비하면서도 그랬고 사시를 치고 싶었지만 집안 환경상 포기했으며 주변에서 1차합격 최종합격 나오고 연수원 들어가는거보면 솔직히 질투와 열등감에 사로잡혀 힘들었었단걸 그것마저 지나가듯 웃으며 얘기했어요. "다 내가 인간이 덜되서 그래!" 라면서요. 사실 우리가 모일 때는 즐거운 취미생활을 공유할때가 대부분이었죠. 저 역시 속에 불안 우울 슬픔 화가 많은 성격이지만 즐길때는 괜히 그런걸 티내서 분위기를 망치고 싶지 않아해서 더 밝게 구는 스타일이에요. 제가 본 언니는 저 처럼 노력하는 모습이었던것 같아요. 스치듯 드러나는 불안과 슬픔을 보았지만 나도 그 정도는 있기 때문에 그냥 예사로 봤던것도 같군요. 언니의 부고를 들은지 딱 일주일이 됐어요. 지금도 기억을 더듬어야 언니의 죽음이 실감이 나요. 너무나 예뻤던 취업사진이 영정사진이되어 제단위에 있던 모습, 하얗 천으로 쌓여있던 관 앞에 마지막으로 절을 했던 것, 영락공원의 전광판에 떠있던 언니의이름과 화면속에 보이던 뜨거운 불길을 거쳐한 줌의 재가 되어 나오던 모습, 언니의 유골함을 꼭 끌어안고 언니의 자리가 있는 곳으로 울음을 토해내며 걷던 언니와 똑닮은 동생 그 모든 기억이 생생한데도 저에게 현실로 다가오지 않아요. 일상생활을 하다가도 갑자기 그 언니가 떠오르면서 '아. 그 언니는 죽었구나' 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해요. 약간의 노력을 기울여야 원래 하던 일로 돌아올 수 있어요. 저도 불안장애 때문에 2년넘게 약을 먹고 있는데 점점 호전되어 약도 많이 줄여가고 있던차에 이런 일이 생기고 나니 제 증상도 더해지는것 같아요. 오늘은 원래 먹던 약 보다 조금 더 많이 먹었는데 아직도 잠을 *** 못하고 있네요. 저에게 크리스마스는 잔혹한 날입니다. 2005년 그 해 크리스마스에 아***는 마지막으로 우리와 크리스마스를 보내고 출장길에 오르셨다가 변을 당하셨거든요. 음력으로 따져서 오늘이 제삿날입니다. 엄마랑 저 둘이서 제사 준비를 해야하니 이만 자야하는데 잠을 잘 수가 없네요. 올해는 제 주변에 죽음이 너무 가까이와서 배로 더 힘든것 같습니다. 아***는 사고로, 언니는 자살로 갑자기 제 곁을 떠났습니다. 죽음으로 인한 누군가의 갑작스런 부재는 후유증이 오래가는것 같아요. 저는 올해 스물일곱이 됩니다. 죽음에 익숙하지 못한 나이인데 더 어린 나이에 저는 상주도 해보았고 내 주변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까지 당해보네요. 제 자신이 기반이 튼튼하지 못한 사람이기 때문에 ***지 잠식될까봐 두렵습니다. 전 충격 앞에 단단하지 못한 사람이에요. 이 나날들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막막합니다.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
선물상자 이미지
전문답변 1, 댓글 5가 달렸어요.
상담사 프로필
아모르
9년 전
안녕하세요. 늘 밝아보였던 친한 언니의 죽음이 님을 많이 힘들게 하고 있네요. 예상치 못하게 곁의 누군가를 잃는 일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고통이지요. 더구나 유머스러운 성격에 어렵고 힘든 일들도 농담처럼 넘기던 언니여서 이런일이 있을거라곤 조금도 상상하지 못했겠죠. 우리는 대부분 어느정도는 가면을 쓰고 사회생활을 합니다. 온전히 내 내면의 모든 것을 다 드러내고 살아가진 않죠. 슬프고 우울하고 불안한 면이 있어도 사회 인맥 앞에서, 친구들에게, 가족들에게 이를 숨기게 되죠. 그래서 그들은 나를 100% 다 알기 어렵습니다. 조금씩 우울한 면을 눈치채더라도 그냥 가벼이 생각하기 쉬울테죠. 언니분도 자신의 속마음을 많이 숨기셨나 봅니다. 힘들고 아파도 애써 괜찮은 척 그렇게 밝은 가면을 쓰고 지내셨던 것 같네요. 하지만 동호회에서 님을 비롯한 다른 친구와 함께 하는 시간이 분명히 언니분에게 위로가 많이 되었을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아무리 힘들고 괴로워도 같은 취미를 공유하고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과 함께하는 시간은 마음을 달래고 기분을 전환시켜주는 좋은 시간이 되거든요. 어려운 상황을 농담으로 넘기는 여유도 그런 바탕에서 생겨난 것일테고요. 그럼에도 언니는 혼자 힘겨운 시간을 많이 보내고 있었나 봅니다. 힘들다는 이야기를 주변에 알리지도 못한채 갑작스럽게 모든 것을 놓아버렸네요. 꼭 괜찮은 모습을 보이려고 하지 않아도 괜찮은데. 아프다고, 힘들다고 님에게, 친구들에게, 그리고 가족에게 이야기하고 도와달라고 하면 어땠을까. 도움의 손길 한번 달라고 하지 못하고 떠나가신 그 분이 너무도 안타깝네요. 이야기를 전해들은 제 마음이 이리 아픈데 님의 마음은 오죽할까요. 언니가 떠나간 것이 많이 힘들고 괴롭고, 언니의 아픔을 알아주지 못한 마음이 무척이나 미안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하지만 속으로만 모든 것을 감내했던 언니의 고통을 어찌 알수 있었을까요. 그러니 너무 자책하지 말아요. 그리고 어린 나이에 아***를 잃으셨으니 그 상처 또한 적지 않으실 것 같네요. 이미 1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어머니나 님께서 그 상실감을 제대로 치유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당분간은 상실감이 무척 크실거예요. 글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문득문득 언니가 없음을 깨닫고 멍해질테죠. 충분히 애도의 시간을 가지세요. 언니 생각하며 엉엉 울기도 하고 그리운 마음도 가득 품으세요. 아***가 돌아가셨을 때에 어떤식으로 그 상처를 달래고 애도의 시간을 가졌는지 모르겠지만 상실의 대상에 대해서 오히려 감추려고 하고 피하게 될수록 상실에 대한 치유는 오래 걸립니다. 지금 저희한테 글을 남겨 주시는 것도 좋고, 언니에 대해서 사람들과 많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그렇게 서서히 언니를 떠나 보내주세요. 언니가 편히 쉴수 있기를 바래주세요. 그리고 얘기하셨듯이 지금의 애도반응과 더불어 평소의 불안장애가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애도반응의 경우 보통 2~6개월 정도 우울반응이 나타나게 되는데 증상이 너무 심하거나 그 기간이 너무 오래 되면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에 준해서 치료를 해야 합니다. 다니고 계신 병원의 선생님에게 최근에 겪은 상실과 새로 나타난 증상, 마음의 변화에 대해 얘기를 해주세요. 주변에는 내가 미처 느끼지 못한 도움의 손길들이 언제나 있습니다. 마인드카페도 늘 님의 마음에 귀기울이겠습니다. #자살 #죽음 #상실감 #가면 #친구 #애도반응
커피콩_레벨_아이콘
maritel
· 9년 전
사랑하는 이를 잃은 그 상실감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고통이겠지요. 너무 참지말고 슬퍼하세요. 언니를 떠나보낼수 있는 시간이 필요해요.
커피콩_레벨_아이콘
profile
· 9년 전
힘든 일이지요.. 특히 이런 급작스러운 상실은.. 혼자 맘에 두지 말고 입을 움직여서 말을 하셔야해요.. 저는 말을 시작할 수 있게 되는데 정말 딱 십년이 걸렸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는것도 도움이 될거에요
커피콩_레벨_아이콘
itsme
· 9년 전
걱정이되요. 불안장애 때문에 2년간 약을 먹고 계신데 언니잉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면아닌 가면을 쓰고있어요. 다들 괜찮아보이지만 속이 뭉드러진 사람들이 많다는거죠. 하.. 전 무슨말을 하고싶었던걸까요..
비공개_커피콩_아이콘
비공개 (글쓴이)
· 9년 전
글쓴이입니다 여러분의관심 정말 감사해요
커피콩_레벨_아이콘
aabbccdd
· 9년 전
버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님을 모르지만 저도 제작년에 사랑하는 엄마께서 병으로 돌아가셨어요. 그래서 그 슬픔을 저도 압니다. 힘내시고 있다는 것 알기에 더 이상 힘내시라는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그저 감사합니다. 견뎌주셔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