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전
저와 똑같은 아이를 키우는 게 너무 힘들어요.
저는 전형적인 착한아이증후군이예요.
저희엄마는 늘 저를 거저 키웠다며 자랑스러워하셨죠.
신생아때부터 울거나 떼쓰거나 고집피운 적이 한번도 없었대요. 학창시절 큰 말썽없이 공부도 잘했고 엄마가 정해준 사람과 선봐서 결혼해 지금까지도 말잘듣는 효녀로 살고있지만 불만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예요.
지금은 그 불만들을 다 잊어버린 것 같구요. 결과적으로 평온하게 잘 사니까 잘된거라 생각하고있어요.
저의 큰아이가 저와 똑같아요. 아기때부터 울지않았고 자기의지가 생기면서부터는 저의 눈치를 보고 배려를 하고 눈치가 무척 빨라요.
저희 엄마는 저를 무척 많이 때리면서 키우셨지만(순한 아이라 말을 안들어서가 아니라 만만해서 화풀이로 때리셨대요) 저는 아이에게 그러지않으려고 수많은 책을 읽고 마음을 다잡으면서 아주 힘들게 키웠거든요.
육아책에서 ***는대로 육아책이랑 똑같이요.
그런데도 아이가 저와 똑같은 게 넘 힘들어요.
눈치안봤으면 좋겠는데 눈치보고 상처받고 칭찬받고 인정받으려고 너무나 애쓰고. 여섯살인데요.
천진난만한 전형적인 둘째를 보니까 더 비교돼요.
둘째가 더 예쁘고 키우기도 쉽구요.
저도 엄마가 저보다 동생을 훨씬 더 예뻐하셨어요.
저희엄마도 비슷한 성장기를 거치셨구요.
사람들이 제게 따뜻함이 느껴지지않는대요.
아이를 대하는게요. 모성이나 따뜻함이 안보인대요.
아이를 사랑하고 예쁘긴한데 저희엄마처럼 저도 스킨쉽이 불편하고 싫고 익숙하지않아서 아이에게 스킨쉽을 잘해주지도않고 해줘도 가짜로 하긴해요. 뭐든지 교과서적이긴하지만 마음이 담겨있지않아요.
아이에게도 너는너 나는나가 경계짓는게 강하구요.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아이가 상처받는것 같아요.
가족이라고 경계가 무너지고 의지하고하는것에 상처를 많이 받고 자라서 반대로하는게 습관이고 성격이 됐는데..
저는 너무 차갑고 아이는 정서적으로 너무 민감해요.
아이가 결국 저처럼 되는걸 원하진않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아이가 사랑을 갈구하면서 매일 서럽게 울어요. 안아줘도 설명해도 늘 사랑에 굶주려해요.
엄마를 닮지않으려고 그렇게 노력했는데 결국은 엄마처럼 되었다는게 너무 힘들어요.
나보고 어쩌라는거냐고 소리치고 다 던져버리고싶어요.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