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
대학이 그렇게 중요한가요?
저도 몇년전까지만 해도 대학네임에 혈안이 되어있었습니다. 원하던 과에 갔지만, 그에 비해 학교 명성은 제 기준에 아쉬운 곳이었습니다. 그래서 한 학기만 다녔고, 현재 몇년째 휴학 상태입니다. 괜히 사회탓을 하게 되는데, 우리나라 사회는 대학을 기준으로 사람을 결정하는 것 같은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보니 저 또한 그런 분위기에 세뇌되어 학교이름에 많이 집착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예체능 전공이다보니 입시를 다시 하는 것 또한 쉽지 않았고 많이 지쳐있던 상태라 어쩌면 학교이름은 중요하지 않다며 이젠 자기합리화에 접어든 단계입니다.
그렇기에 본인하기 나름이지 않을까 싶다가도,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고졸인데, 그것으로 남들이 저를 보는 기준이 정해질까 무섭습니다. 미래도 장담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학력을 따놓는 것이 마음이 편치 않을까란 생각도 들지만 그러기엔 학교를 거의 3년정도는 더 다녀야 하는 상태입니다. 이제 저도 20대 중반에 접어드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사회경험을 통해서 제가 원하는 경력을 쌓고 싶은데, 휴학생이라는 신분이 제 발목을 잡아 원치 않는 거짓말을 했던 경우도 다반사였습니다. 건방진 발언일 수 있으나, 학교에서 재학하는 기간 동안 무엇을 배웠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돈과 제 시간을 바쳐가며 다녀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만 늘어가며, 출신대학으로 사람을 판가름하는 것에 대해서도 깊은 아쉬움이 있습니다. 제 생각은 이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순응하여 울며 겨자먹기로 학교에 복학을 해야하나 싶습니다. 아니면 과감히 자퇴를 할지, 아니면 휴학을 지속할지 깊은 고민에 빠져 있습니다.
저는 곧장 사회에 나와 제가 좋아하는 일을 시작하고 싶습니다. 원치 않는 학교에서 돈과 시간, 저의 에너지를 들여가며 졸업을 해야하는지.. 답답한 마음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고민을 하는 이유는 미래에 대한 불안함 때문인 것 같습니다. 원치 않는 학교에서라도 학력을 따면 고졸이라는 사람들의 선입견 아닌 선입견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과 좀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질 수 있지않을까란 생각 때문에 내적으로 갈등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막상 학교에 갈 생각을 하니 정말 막막하고 불만족스러웠던 때가 떠올라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저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