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
요새 아이가 고집이 세졌습니다. 아직 말은 못하는데 자기주장이 강해져서 원하는대로 되지 않으면 소리 지르고 떼를 씁니다. 그 때 원하는 대로 해주면 다음에 또 고집을 피울까봐 저는 그냥 가만히 내버려둡니다. 소리지르며 화내지도 않고 때리지도 않고 그만 멈출때까지 내버려둡니다. 그리고 애가 다 울고 엄마한테 다가오면 그때 원하는걸 물어보고 달래줍니다. 저도 매일 그렇게 하다보면 한계가 오고 가끔 소리지르기도 하고 엉덩이를 몇대 때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때리는 훈육은 좋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안때리려고 참고 노력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는게 심해지니까 하루하루가 스트레스입니다. 그런데 더 스트레스 받는건 제가 참고 기다리고 있는데 그 옆에서 자꾸 아이를 때리라고 하는 남편입니다. 그리고 시어른들도 자꾸 혼내라고 합니다. 저에게 오냐오냐 하지말라고들 하는데, 저도 혼낼땐 혼냅니다. 다만 큰소리 내지 않고 때리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일뿐, 단호하게 안된다고 얘기하고 조용하게 주의를 주는 쪽으로 혼을 냅니다. 제가 때리지 않고 기다릴때 남편은 결국 못참고 와서 아이를 때립니다. 그런데 이제까지 그렇게 때려서 더 좋았던 적은 없었습니다. 오히려 더 화가나서 소리를 질렀습니다. 남편은 때려서도 더 심해지고 말을 안 들으면 가만히 내버려 두라고 말은 하면서도 아이가 우는 소리 끝마다 "울어라!울어라!" 하며 화를 돋웁니다. (전 속으로 그 입을 좀 다물고 가만히 내버려 두라고 생각합니다ㅡ) 아이는 그 소리에 더 열이받아서 심하게 울고요. 남편의 방식은 오히려 독이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남편은 일관되게 훈육하지 않습니다. 어쩔때는 때리라고 하며 절대 안된다고 아이 행동을 지적하다가도 어쩔때는 귀찮으니 하고싶은대로 해주라고 합니다. 그런데 남편 주변에 아이를 많이 때리고 소리 질러서 키운 집이있습니다. 그 집아이들은 다컸는데 그 집 부모들은 그 훈육법을 자랑스러워합니다. 남편은 아마 그걸 따라하는 것 같습니다. 저희애가 딸인데도 강하게 키운다느니 하며 두돌도 안 된 아이에게 강한 훈육을 한다는데 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 집 아이들도 사실 훈육을 잘 해서 잘 배웠다는 생각이 들진 않구요. 오히려 아이들이 기가 죽어있고 그에 반해서 버릇은 또 없더라구요. 사실 그렇다고 제가 하는 방식으로 애가 잘 크고 있다고 확신이 드는 건 아닙니다. 제 방식으로 해도 아이는 매일매일 떼를 씁니다. 그러다보니 떼를 쓰면 쓸수록 더 아이 성격이 안 좋아질까봐 그런상황을 안 만들기 위해 달래보다가 정 안되면 내버려둡니다. 이게 원래 그런 시기라서 그런건지..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는건지, 아니면 정말 제 방법이 틀렸고 남편의 방식이 맞는건지.. 그런 생각이 듭니다. 어떤 방식이든 중요한 건 저의 훈육법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사실 확신은 안 섭니다. 또 남편과 너무 반대의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고요. 오늘도 남편이 아이에게 매를 들었고 아이가 겁을 먹고는 조용해 졌는데 벌벌 떨면서 저에게 안겨잠들었습니다. 겁을 먹고 자기도 모르게 울음이 나오는 것에도 그만 울라고 조용하라고 소리치는 남편에게 그만하라며 아이를 안고 다독였습니다. 두돌도 안된 아이에게 그렇게 하는 게 맞나요.. 저는 육아를 하면서 다른 일도 다 잘하고 싶지만 아이도 잘 키우고 싶다는 욕심도 큰 것 같습니다. 다들 하나는 포기해야한다고 하는데, 저는 그게 다 포기가 안돼서 자꾸만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 같습니다..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