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쓰레기가 생기면 하루 이상 집에 두지를 못 - 익명 심리상담 커뮤니티 | 마인드카페[상담]
알림
black-line
비공개_커피콩_아이콘비공개
·9년 전
재활용 쓰레기가 생기면 하루 이상 집에 두지를 못합니다. 최소 하루에 두번 이상은 아파트 내에 있는 쓰레기장에 버리러 갑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가 생기면 바로바로 버려야합니다. 쓰던 물건도 바로바로 정리해야합니다. 손이 조금이라도 지저분해지면 바로 씻어야 맘이 놓입니다. 사소한 것에 신경도 많이쓰고 걱정도 많고 생각이 너무 많습니다. 저 강박증인건가요? 그리고 요즘 자존감도 많이 낮고 우울한 생각이 많이듭니다. 죽고 싶다란 생각도 하고 혼잣말도 합니다. 잘때면 그냥 안깨어나고 싶다란 생각도 하구요... 그러다가도 아니야 잘살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하고는 있습니다. 사실 우울증은 아닌지 걱정도 되고 병원에 가봐야하는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치료가 필요하다면 어떤 과로 가야할지... 기록이 남는건 아닌지 걱정도 되고ㅜ 상담센터에 가기엔 비용도 부담되고...그렇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지금 앱으로 가입하면
첫 구매 20% 할인
선물상자 이미지
전문답변 1, 댓글 4가 달렸어요.
상담사 프로필
아모르
9년 전
강박적인 사고와 행동에 대해서 본인이 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그것을 해야 마음이 놓이고 그것으로 인해 오랜시간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다면 강박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강박증의 경우 우울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정신과를 내원하시는 것이 좋구요. 기본적으로 약물 치료와 함께 인지행동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기록이 남을 것이 염려스러우시겠지만 실비보험을 가입할 때를 제외하고는 크게 문제시 되지는 않습니다. 실비 보험의 경우에도 우울증에 한해서 문제가 크기 때문에 다른 병명으로 진단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보험회사건 정부에서 요구하건 본인이 동의를 하셔야 진료 기록이 열람이 가능하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정신과 진료 기록은 원칙적으로 담당 의사와 환자만 열람이 가능하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처음부터 정신과를 가는 것이 무서우시다면 상담센터를 방문하셔서 본인의 상태에 대해 확인을 받아보실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명확한 진단과 치료는 정신과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초기에 심리검사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약물 치료만 우선적으로 받으실 경우 보험처리가 가능하므로 크게 비용적으로 부담을 느끼실 필요는 없습니다. 스스로 긍정적인 기분 상태를 가지려고 하는 것은 정말 좋은 자세이자 더 나은 상태로 가기 위한 좋은 신호입니다. 용기를 내셔서 전문가를 만나 본인의 상태에 대해서 점검을 받으시고 적절한 치료와 더불어 정신적으로 한걸음 더욱 성숙하실 수 있는 계기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강박증 #우울증 #정신과 #진료기록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노출치료 #탈감작
커피콩_레벨_아이콘
hoya
· 9년 전
저는 더러운것보다 낫다고 생각해요 저는 게을러서 안치우는 스타일 이거든요 본받고싶네요 자신의 단점이 장점이될수는 없는지 생각해봐요 그런모습의 좋아해줄수 있는사람도 많답니다 친구를 만들어보는건 어때요? 언제는 말동무가되어드릴게요 죽기엔 아까운시간들이 너무 많답니다 하고싶은게많잔아요
커피콩_레벨_아이콘
namuamitable
· 9년 전
사람마다 각각 다른 종류의 강박증이 조금은 있어요. 저도 손 더러운거 진짜 못 참고, 바깥옷 입고 침대에 절대 안 앉아요. 자기가 편한데로 살면 됩니다. 근데 남한테 나처럼 하라 강요하면 트러블 생기겠죠.
커피콩_레벨_아이콘
imtheone
· 9년 전
세상에나 저희 언니도 마카님이랑 똑같아요. 언니가 자취하는곳에 제가 놀러갔을때알았어요. 제 옷에 머리카락 하나가 붙어있었는데 호들갑이더라구요. 움직이지말라면서 소리치면서 난리를치는데. 음.. 그래서 제가 언니옆ㅇㅔ 두달동안 살았어요. 언니 결벽증을 고치겠다는 마음하나로. ㅋㅋ 많이 나아졌어요 ㅋㅋㅋㅋ 고칠수있어요 ㅋㅋㅋ
커피콩_레벨_아이콘
itsme
· 9년 전
자서전같은 책을 읽어보는건 어때요? 상담은 돈도 많이들고... 대부분의 자서전에서도 모두가 처음부터 행복하지 않았더리구여. 그 힘든 과정을 버틴 분들의 조언을 따라서 시작해보는거예요~!